캐나다 소개
₩ 비용
비자받기
학생 서비스
Advertorials
학교 찾아보기
학교 종류를 선택하시고 "Go"를 클릭하세요.
-- or --

고급 검색

학교 선택에 도움이 필요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요.

주한 캐나다 교육원 행사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원하시면 학생클럽에 가입하세요
신청하기
.

캐나다 조기유학 초등교육 // 유아교육

교육과정은 보통 1~3년의 예비학교(Preschool)과정과 유치원,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과정으로 나뉜다. 초등교육과정의 경우 보통 4~5세의 캐나다 어린이들은 대부분 1~2년 동안 예비학교나 유치원을 다니는데 이는 의무교육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캐나다 어린이들은 5세가 되면 유치원에 간다. 초등교육기관에서는 언어, 산수, 사회, 과학, 예술의 기초과정을 공부하며 우리나라에 비해 수업시간은 적은 편이다. 주에 따라서 영재를 위한 월반교육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학습능력에 장애가 있는 아동의 경우 특수프로그램이나 특수학급과 기관을 주선해 주지만 점차적으로 일반 정규과정에 통합해 교육하고 있다.

캐나다의 초등학교 1학년은 만 6세에서 시작된다. 초등학교에 입학하기위해서는 일반적으로 9월 1일자로 만6세가 되어야 한다. 캐나다의 학기는 9월부터 시작되므로 이러한 기준을 갖고 있다. 그러나 많은 교육청에서는 다음 해 3월 1일 전에 만 6세가 되는 어린이도 초등학교 입학을 허용하고 있다. 초등학교 입학기준에 대해서는 교육청에서 별도의 규정을 정할 수 있고, 대부분의 캐나다 어린이들이 초등학교 입학 전 만 5세가 되면 유치원(Kindergarten)에 들어간다. 유치원은 초.중.고등학교와 같이 공립교육의 일부로 공립학교에서 제공하며, 교육부의 규정에 따른 지역사회기관, 데이케어센터, 사립학교 등에서도 제공한다.

유치원 과정은 초등하교 1학년 입학을 위한 준비이며, 학교생활을 잘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아이들은 유치원을 통해 배우기도 하지만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며 많은 것을 배우기도 한다. 캐나다 아이들은 유치원에서 영어, 산수, 지역사회 및 환경에 대한 인식, 개인적 사회적 관계, 체육 및 건강생활, 창조적이고 문화적인 표현방법 등을 배운다. 예를 들어 만약 어린이들이 곤충에 대해서 배운다며, 이 주제를 갖고 위의 6가지 분야를 통해 통합적으로 배우게 된다


교육제도   
학교선택   
초등교육   
 유아교육
중등교육 
지원절차   
자주 묻는 질문   
 
Example
  언어 곤충에 대한 이야기와 동시를 읽거나 청취
산수 곤충의 다리 수를 세거나 벌레들을 구분
지역 및 환경에 대한 인식 지역의 연못이나 호수, 숲속에 있는 곤충 찾아보기 및 견학
개인적, 사회적 관계 호기심을 표현하고 관찰을 통한 개인 학습, 친구들과 협동하기
체육 및 건강생활 곤충을 잡으면서 운동을 하고, 위험한 곤충에 대한 인식
창조적, 문화적 표현 곤충모양의 종이 접기나 노래와 율동

유치원은 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매년 9월에 시작하여 6월 30일까지 수업을 한다. 대부분의 학교는 7월과 8월 방학으로 개교하지 않으며, 학년도 중에는 크리스마스(겨울방학)와 부활절(봄방학) 시기에 약 2주 정도 방학을 한다. 유치원과정은 년간 400시간 정도를 교육한다. 유치원의 수업내용은 아이들의 흥미와 배워야 할 것들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인 유치원의 일과는 다음과 같다.

캐나다의 초등학교 교사는 4세부터 12세의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초등학교 교사 중 유아교육을 특화 전공한 교사는 유치원부터 3학년까지의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는 훈련을 받는다. 유아교육전공에서 교사들은 어린이가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를 갖을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에 중점을 준다. 또한 실험, 이야기, 토론, 노래, 미술, 게임 등 다양한 학습활동 방법을 익히고, 여러 사람들의 경험담을 듣고 개인 또는 그룹 프로젝트를 참여함으로써 수업계획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대부분의 대도시의 있는 유치원 교사는 매일 오전과 오후에 다른 그룹을 가르친다. 각 주마다 교사가 되기 위한 자격조건은 조금씩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교육학 학사학위를 소지해야 한다. 학사학위를 받은 후 각 주정부의 규정에 따라 임시 교사자격증을 받고, 완전한 교사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2년간 교육경험이 있어야 하고, 교사경력을 쌓은 기관의 최고 관리자로부터 추천서를 받아야 한다.

    유치원 외의 어린이들의 보육시설은 다음과 같다.
    • 데이케어센터 (Day Care Centre) : 7명 이상의 3세에서 7세의 아이들을 하루에 3시간 이상 또는 24시간 미만동안 돌 봐주는 기관
    • 드롭-인 센터 (Drop-in Centre) : 7명 이상의 아이들을 하루에 3시간 이상 24시간 미만으로 돌 봐주는 기관. 단, 한명의 아이가 한 달에 40시간이상 이용할 수 없다.
    • Nursery School : 7명 이상의 아이들을 하루에 3시간 미만으로 돌 봐 주는 기관
    • Family Day Home : 6명 이상의 11세 미만 어린이를 지정 된 가정에서 돌봐주는 제도. 이중 3명 이상이 만 3세보다 어리면 안되고, 그 중 2명이 2세 미만이어서도 안된다. 아이들을 돌봐주는 가정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정부기관으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하며, 부모는 비용에 대해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
    • 이 밖에는 개인적으로 유모나 아이 봐 주는 사람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받지 못하며, 유모나 아이 봐 주는 사람은 정부 규정의 적용을 받지않습니다. 그러므로 개인적으로 아이를 돌 봐주는 사람을 구하는 것은 전적으로 부모의 책임입니다.

보육기관은 보통 일을 하거나 학교를 다니는 부모들이 어린 자녀를 위탁할 수 있는 시설이다. 일반적으로 오전 6시나 7시에서부터 저녁 6시까지 운영되며, Family Day Home의 경우 밤이나 주말에 운영되기도 한다. 이러한 보육기관은 주정부의 규정을 적용 받고 있으며, 수입이 낮은 부모들은 정부로부터 자녀양육을 위한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 재정지원을 받은 것은 부모의 수, 자녀의 수, 부모의 수입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며, 지원금은 보육기관으로 직접 입금하며, 지원금보다 비용이 더 비싼 경우에 차액은 부모가 부담하게 된다.

보육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각 주에서 요구하는 1년 또는 2년의 수료증과정이나 전문학사학위 유아교육과정을 이수하면 된다. 실습이 포함되어 있는 과정의 경우 신원조회 및 아동학대 여부에 대한 조회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보육기관의 설립기준이나 교사자격 기준은 각 주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

 
Copyright ?002 CEC Networks Inc. All rights reserved. No contents of the Web site may be reproduced without permission.     Privacy Policy    Disclaimer